오늘의 한자공부

士爲知己者死(사위지기자사)

jungbo(仲甫)중보 2012. 12. 8. 23:30

士爲知己者死(사위지기자사)

[뜻풀이]

선비는 저를 알아주는 이를 위하여 죽는다는 뜻으로서, 자기의 진가(眞價)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서는 목숨을 내걸고 그 뜻에 보답한다는 말이다. 이와 비슷한 말로서 [「여자는 자기를 기쁘게 해주는 사람을 위해 몸단장을 한다.」여위설기자용(女爲說己者容)]이라는 것이 있다.

 

[用例(용례)]

옛날 선비들은 올곧고 꼬장꼬장함은 물론 사장(四長: 才,學,識,德)을 갖추었으며 표리부동(表裏不同)하지 않고, 푸른 대나무처럼 청정하여 사위지기자사(士爲知己者死)하는 지조(志操) 있고 충정스러운 선비들이 많았으나 오늘날에는 그런 선비들을 찾아보기 어려운 세상이 되어가고 있어서 안타깝다.

 

[자해(字解)]

士: ①선비사 ②무사사 ③하사관사 ④벼슬사 ⑤일사 ⑥성사

爲: ①할위 ②만들위 ③다스릴위 ④배울위 ⑤생각할위 ⑥삼을위 ⑦체할위 ⑧행위위

     ⑨될위 ⑩성위 ⑪위할위 ⑫위하여할위 ⑬도울위 ⑭더불어위

知: ①알지 ②알릴지 ③앎지 ④알림지 ⑤사귐지 ⑥대접지 ⑦맡을지 ⑧지사지

    ⑨짝지(배우자) ⑩능히지 ⑪나을지(병이나음) ⑫슬기지 ⑬성지 ⑭

己: ①몸기 ②여섯째천간기 ③다스릴기 ④성기

者: ①놈자, 사람자 ②것자 ③곳자(장소) ④어조사자 ⑤이자 ⑥성자

死: ①죽을사 ②죽일사 ③말라죽을사 ④다할사 ⑤죽음사 ⑥목숨걸사 ⑦주검사

 

[字源(자원)]

士; 상형(象形), 일종의 큰 도끼의 상형(相形)으로 큰 도끼를 가질 만한 남자의 뜻을

     나타냄. 일반적으로, 미혼의 남성의 뜻을 나타냄. 일반적으로 남자를 포함하는

     문자를이룸(예: 사관(士官),사군자(士君子),사기(士氣),사녀(士女),사병(士兵),등

爲: 甲骨文. 갑골문(甲骨文)은 회의(會意)로서, 爪+象. '爪(조)'는 '손'의 뜻.

    '象(상)'은 코끼리의 상형, 코끼리를 길들이는 모습에서 인위적으로 만들다의

     뜻을 나타냄. 篆文(전문)은 그것이 변형된 것임.

知: 會意(회의). 口+矢. '口(구)'는 기도하는 말의 뜻. '矢(시)'는 화살의 뜻.

     화살을 곁들여 기도하여, 신의 뜻을 아는 모양에서, '안다'의 뜻을 나타냄.

己: 象形(상형). 사람이 무릎을 꿇는 모양. 비슷한 세 개의 가로 평행선이 있어,

    그 양 끝에 실을 감았으며, 가운데 가로선을 굄점으로 한 실패의 상형임.

    '紀(기)'의 원자로서 실 가닥을 가르는 기구의 뜻을 나타내었으나, 가차하여

    자기 몸, 十干(십간)의 六位(육위)의 뜻을 나타냄.

者: 象形(상형). 금문(金文)은 받침대 위에 나무를 쌓아 놓고 불을 때는 모양을

     형상화하여 '익히다'의 뜻을 나타냄. '자(煮)'의 원자. 가차하여 '놈'의

     뜻으로 쓰임.

死: 회의(會意). '알(歺)'+인(人). '알(歺)'은 백골의 상형. 무릎 꿇은 사람 앞의

    시체의 뜻에서, '죽다'의 뜻을 나타냄.

 

[出典(출전)]

원전 《사기(史記)》「자객전(刺客傳)」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춘추(春秋)시대 말기에 진(晉)나라의 지백(智伯)은 조(趙)나라의 양자(襄子)를 치려고 했으나, 오히려 그의 책모(策謀)에 빠져 멸망당하고 말았다. 그런데 지백(智伯)을 섬기면서 극진한 대접을 받아 큰 은혜를 입었던 예양(豫讓)은 홀로 산속으로 피신하여 지백(智伯)의 원수를 갚을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예양(豫讓)은 조(趙)나라의 양자(襄子)가 지백(智伯)의 두개골에 옷칠을 해서 수병(溲甁:요강)으로 사용한다는 소문을 듣자 화가 상투 끝까지 치밀어 올랐다. 그는 다음과 같이 결심했다.

 

「선비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죽고[(사위지기자사(士爲知己者死)], 여인네는 자기를 설득하는 사람을 위해 몸을 단장한다.[여위설기자용(女爲說己者容)]고 했다. 지백(智伯)은 나 라는 사람을 잘 알고 존중해 주었다. 사나이로서의 나의 마지막 임무는 결단코 지백(智伯)의 원수를 갚고 죽는 일이다.」

 

예양(豫讓)은 조(趙)나라 양자(襄子)의 목숨을 노려 재삼 죽이고자 했으나 번번히 실패하자 끝내 자살하고 말았다.

 

조(趙)의 양자(襄子)도 예양(豫讓)의 의리심(義理心)에 감복하여 그의 시신을 정중히 장사지내 주었고, 또 지백(智伯)의 두개골도 새삼스럽게 후히 장사지내게 했다. 그리고 조(趙)나라 지사(志士)들 모두가 예양(豫讓)을 위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옛날부터 동양에서는 이것을 의리심(義理心)의 극치로 삼는다. 그런데 세상에는 「개가 키운 개한테 물린다」는 말이 있듯이 은혜를 원수로 갚는 사람도 많은 것 같다.

 

 

실버넷뉴스 김춘원 기자 kimcw98@silvernetnews.com

'오늘의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焚書坑儒(분서갱유)  (0) 2017.11.28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0) 2016.04.01
枕流漱石(침류수석)  (0) 2012.12.08
千祥雲集(천상운집)  (0) 2012.12.08
百年待河淸(백년대하청)  (0) 201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