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강의자료

[스크랩] 사진 잘 찍는 법 촬영 실제 10 광각렌즈의 왜곡(청량사)

jungbo(仲甫)중보 2012. 11. 8. 17:42

사진 잘 찍는 법 촬영 실제 10 광각렌즈의 왜곡(청량사)

스포츠사진 전문가 이주희

 

왜곡이란 무엇인가.

사실과 다르게 곱새겨 진다는 사전적 의미가 있지만, 사진용어에서는 광각렌즈를 통한 사물은 바로 보이지 않고 휘어지게 보이는 것이다.

굽은 도로에 설치된 곡면경이 대표적인 예이다.

볼록한 거울에 상대편의 비친 모습을 보고 운전을 하면 굽은 도로를 쉽게 주행 할 수 있다.

사진 촬영여행을 떠나면 가끔씩 곡면경에 비친 모습에 현혹되어 셔터를 정신없이 누른 경험은 누구든 가져 보았다고 본다.

특히 우포의 늪지대에 설치된 곡면경에 비친 풍경은 세상이 이렇게 왜곡되어도 충분히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카메라의 뷰파인더라는 한정된 사각형의 공간에 넓은 각도를 가진 광각렌즈의 화각은 이미지를 억지로 구겨 넣는다고 생각된다.

사람의 눈이 46도의 화각으로 편안하게 사물을 보게 되는데 이 화각을 렌즈로 표현하면 50mm렌즈이다. 다름 말로 표준렌즈라고 호칭한다.

50mm라는 용어는, 렌즈를 통과하는 사물의 상이 맺히는 포인트를 주점이라 하는데 마지막으로 상이 맺히는 부분을 제2주점이라고 한다. 이곳에서 카메라 몸체에 부착된 촬상소자(CCD, CMOS)에 투사되기까지의 거리를 초점거리라 한다. 초점거리가 50mm면 50mm렌즈라고 하고, 35mm 이면 35mm 렌즈라고 한다.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광각렌즈라고 하여 화각이 넓어져 뷰파인더에 담는 이미지가 일그러진다. 이 일그러지는 현상을 왜곡이라고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35mm까지는 왜곡이 덜하지만 24mm 이하부터 16mm 까지는 왜곡이 심하게 생긴다.

렌즈의 중심부에는 왜곡이 거의 없지만 중심부를 벗어나 렌즈의 가장자리에서는 급격하게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좌측의 이미지는 오른쪽 중앙으로 휘어지는 경향이 있고, 우측의 이미지는 좌측의 중앙으로 휘어지는 모습이다.

좌우에 같은 높이의 이미지가 존재하면 휘어지는 방향에 따라 촬영이 쉽지만 한쪽에 이미지만 있을 경우에는 휘어지는 이미지를 바로 세우려고 카메라의 수평을 이동하면 사진 전체의 균형을 깨트리는 낭패를 경험하게 된다.

사진은 봉화 청량산의 아침 모습을 촬영한 장면이다.

오른쪽 아래에서 피어오르는 운무를 촬영하기위해 소나무와 탑을 좌측으로 배치를 했다.

렌즈는 16-35mm 렌즈를 사용, 108°의 시원한 화각으로 풍경 촬영을 원했지만 왜곡이 생긴다.

16mm의 화각은 사진의 생명인 원근감이 강하게 나타나 사진에 힘은 실리지만 탑의 중심이 오른쪽 중앙으로 쏠리는 모습이다.

소나무는 처음부터 자세가 오른쪽 중앙으로 휘어졌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바로 세워진 탑은 중앙으로 쏠림이 심하면 부자연스럽게 된다.

카메라의 파인더를 보면서 탑을 중앙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쏠림현상이 덜한 지점에 카메라를 고정하고 22mm로 화각을 좁혀서 촬영을 했다. 탑을 중앙에 오도록 촬영을 하면 왜곡은 거의 없지만 현장에서 구도를 잡는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전체적인 분위기를 고려해서 왜곡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광각렌즈의 운용법이라 하겠다.

왜곡의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것은 직선으로 세워진 건축물이 대부분인데 종종 인물사진에서도 왜곡현상이 일어난다.

단체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광각렌즈로 촬영을 하게 되면 중앙에서 좌우로 멀어질수록 인물의 이미지는 휘어지게 된다. 휘어져 길쭉한 얼굴이 싫으면 카메라가 세워진 렌즈 중앙으로 파고들어 멋진 사진을 찍히길 바란다.

이러한 왜곡은 광각렌즈만이 가지는 특성으로 강한 원근감을 독특하게 표현할 수가 있고 역동적인 표현법으로 가까운 사물은 더 가까이, 멀리 있는 피사체는 더 멀리 표현되기 때문에 한해살이풀도 표현에 따라 많은 얘기를 만들어 낼 수가 있다. 광각이 주는 여유다.

AWB, Tv모드, 감도 ISO 400, 셔터스피드 1/500초, 조리개 f9.0, +1Stop 노출보정으로 촬영했다.

 

청량사의 가을 풍경은 운해가 해를 따라 넘실거리며 탑까지 올라오는 장면이 압권이다.

오전 9시부터 설레임이 시작된다.

출처 : 열린사진공간
글쓴이 : jule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