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212 斷而敢行(단이감행)이면 鬼神避之(귀신피지)라.hwp
斷而敢行(단이감행)이면 鬼神避之(귀신피지)
[뜻풀이]
나쁜 일도 단호한 태도로 감행하면 성공하고 또 정당화된다
뜻이다. 이것은 원래 나쁜 음모와 관련된 말이 있지만, 지금은 무슨 일이든 간에 만난을 무릅쓰고 단호하게 해나가면 어떤 일도 성사(成事)되지 않는 일이 없다는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다.
[用例(용례)]
이번에 계획한 일은 어떠한 난관이 있을지라도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단이감행(斷而敢行)이면 귀신피지(鬼神避之)라는 말처럼 끝까지 정신을 차려 적극적으로 대처하면 꼭 성사(成事)될 것입니다.
[字解(자해) 및 字源(자원)]
斷: ①끊을 단 ②끊어질 단 ③조각 단 ④결단할 단 ⑤결단 단 ⑥단연 단 ⑦나눌 단 ⑧한결같을 단 //會意(회의), 전문(篆文)은 ‘㡭(이을 계)’ + ‘斤(도끼 근)’, ‘㡭(계)’는 이어진 실을 본뜬 것, ’斤(근)‘은 도끼의 상형(象形). 연결된 것을 끊는다는 뜻을 나타냄.
而: ①말 이을 이 ②너 이(자네) ③같을 이 ④뿐 이 ⑤어조사 이 //象形(상형). 수염을 본떠 ‘수염’의 뜻을 나타냄. 가차하여 접속사나 ‘그대’의 뜻으로도 쓰임.
敢: ①굳셀 감 ②결단성 있을 감 ③감히 할 감 ④감히 감 //會意(회의). 金文(금문)은 ‘又(또 우)’+ ‘又(또 우)’ + ‘占(차지할 점)’占자의 윗부분 ‘卜(점 복)’을 무리하게 눌러 휘어드린 모양에서 이치에 맞지 않은 것을 억지로 하다. 감히의 뜻을 나타냄.
行: ①다닐 행, 걸을 행 ②갈 행 ③돌 행 ④흐를 행 ⑤지날 행 ⑥가게 할 행, 보낼 행 ⑦행할 행 ⑧행해질 행 ⑨길 행 ⑩길 귀신 행 ⑪행서 행(서체) ⑫시 이름 행 ⑬행 행 ⑭가게 행 ⑮성 행 (16)행실 행 / (17)항렬 항(서열, 서차) (18)같은 또래 항 (19)줄 항(대열) (20)성 항)//象形(상형). 잘 정리된 네거리의 상형으로, 길, 간다는 뜻을 나타냄. 정리된 줄의 뜻도 됨.
鬼: ①귀신 귀 ②도깨비 귀 ③별 이름 귀 ④성 귀 //象形(상형). 무시무시한 머리를 한 사람의 상형(象形)으로, 죽은 사람의 혼의 뜻을 나타냄.
神: ①귀신 신 ②신선 신 ③혼 신(영혼) ④절기 신 ⑤영묘할 신 ⑥성 신 //形聲(형성). ‘示(보일 시)’ + ‘申(아홉째 지지 신)’. 金文(금문)에서는 ‘申(신)’과 같은 자로, 번갯불을 본뜬 것이 있음. 번갯불의 象形(상형)에서, 하늘의 신의 뜻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신’의 뜻을 나타냄.
避: ①피할 피 //形聲(형성). ‘辶(辵)(쉬염쉬염 갈 착)’ + ‘辟(임금 벽). '辟(벽)'은 옆으로 비킨다는 뜻. 옆으로 나아가다. 피한다는 뜻을 나타냄.
[出典(출전)]
원전은 《사기(史記)》「이사열전(李斯列傳)」이며,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와 있다. 천하를 통일시킨 진시황(秦始皇)이 죽은 다음, 제위(帝位)는 진시황의 유지(遺志)에 따라 큰아들인 부소(扶蘇)에게로 돌아가게끔 되어 있었다.
그러나 간신배로 유명한 환관 조고(趙高)는 음모를 꾸며 부소를 물리치고 나이가 어린 막내아들 호해(胡亥)를 옹립하고 자기가 집권을 휘두르는 동시에 나아가서는 제위(帝位)마저 찬탈하고자 했다.
호해(胡亥)도 처음에는, “형님을 물리치고 동생이 제위에 오른다는 것은 불의(不義)요, 그런 것을 하면 천하의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을 것이니 나라와 사직을 보전할 수 없지 않소” 하면서 제위에 오르는 것을 사양하였다.
그러나 조고는 몇 가지의 역사상 선례를 들어 호해(胡亥)의 등극이 합법인 양 설득했고 또 그를 사주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작은 일에 구애되어 큰일을 잃으면 후일 반드시 후회하게 됩니다. 단호하게 밀고 나가면 귀신도 그의 기백에 눌려서 이를 피하므로 뒤에는 반드시 성공하게 되는 것이오니 지금은 잠자코 제가 하라는 대로만 해주시면 됩니다. (다음의 원문 참조)
「故顧小而忘大(고고소이망대),後必有害(후필유해);狐疑猶豫(고의유예),後必有悔(후필유해)。斷而敢行(당이감행),鬼神避之(귀신피지),後有成功(후유성공)。願子遂之!(원자수지)」
김춘원 기자 kimcw98@silvernetenws.com
'오늘의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樹暮雲情(춘수모운정) (0) | 2018.03.18 |
---|---|
一敗塗地(일패도지) (0) | 2017.11.28 |
逐鹿者不見山(축록자불견산) (0) | 2017.11.28 |
四面楚歌(사면초가) (0) | 2017.11.28 |
敗軍之將(패군지장) (0) | 2017.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