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광촬영 1 - 빛으로 만드는 미학
글/ 김흥수(동우대학 사진과 교수)
사진을 처음 배울 때 선배 사진가들의 이러한 말을 종종 들었다.좋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해를 안고 걸어라·... 그 당시 이론적으로 체계화되지 안았을 때 무작정 그리하였던 것이 기억 난다.
이는 피사체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역광의 상태에서 만나기 쉽다는 말로 지금은 이해할 수 있다.
역광은 피사체의 뒤에서 카메라 렌즈 쪽으로 빛이 비추어지는 상황을 말한다.
이러한 상황은 피사체의 윤곽을 따라 아름다운 Highlight의 선을 형성하여 아름다운 상황을 쉽게 만들어 준다. 하지만 이 빛을 이용하는 것이 그리 쉽지만 않다.
그 이유는 바로 밝기 차이 때문에 노출을 조절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피사체 뒤에서 비추는 강한 광선이 화면의 어두운 부분(그것도 주된 피사체에 만드는 강한 그림자)과 차이가 너무 많아 이를 한 화면에 묘사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역광을 받을 때 피사체는 매우 아름다운 모습을 지니는 경우가 많다.촬영 시 다소의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지만 그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
이 사진은 나뭇잎(반투명성을 가진 물체)이 역광을 받을 때 나타나는 잎줄기의 투명한 조직을 표현함으로 새로운 아름다움과 신비함을 포착하였다.
■노출의 선택
역광 촬영은 아름다운 영상을 만들기는 하지만 촬영자는 한가지 선택을 해야 한다.
역광상황은 밝은 배경과 피사체에 드리워진 그림자의 상황임으로 노출을 밝은 배경에 맞출 경우 피사체는 상대적으로 노출 부족이 되어 어두운(정도에 따라 검은 그림자) 실루엣으로 표현되고, 어두운 피사체에 노출을 맞출 경우 배경은 노출 과다가 되어 배우 밝은(상황에 따라 흰) 상태로 표현될 것이다.
따라서 촬영자는 어느 효과를 원하는지를 판단하여 선택을 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양쪽 모두를 촬영하여 두 가지 중 한가지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한가지 해결 방법은 피사체의 그늘 부분을 향해 반사판을 이용하여 Fill In 하는 방법과, 반사판이 없을 경우 역과의 상태에서 배경이 우둔 상태로 시점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배경이 어두운 역광으로 시점을 변화 시켜 촬영하게 되면 역광의 아름다움은 유지하면서 배경과 피사체의 밝기 차이를 축소 시켜 만족할 만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배경을 어두운 상태로 시점을 변화시키는 것은 노출의 문제 뿐 아니라 역광의 특징인 Line을 이루는 Highlight를 어두운 배경으로 인해 더욱 밝게 보이게 함으로 보다 아름다운 사진이 된다.
따라서 역광촬영을 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배경으로 어두운 상태로 시점을 변화시키고, 가능하다면 반사판이나 Flash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어두운 부분을 Fill In 하여 주는 것이다.
노출을 어두운 피사체에 맞출 경우 상대적으로 밝은 배경은 노출과다가 되어 분위기를 잃어버리는 결과가 된다.
노출을 배경에 맞출 경우 배경의 노출은 적정이 되나, 그림자가 드리워져 상대적으로 어두운 피사체는 노출 부족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촬영자의 선택에 달려 있으며, 일반적으로 2가지 상황 모두를 촬영한 후 최종 결정을 하는 것이 좋다.
양쪽의 Detail을 모두 살리는 방법은 반사판을 이용하거나 Flash를 이용하여 어두운 부분을 Fill In 해주는 것이다
역광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피사체를 둘러싼 Highlight이다.
이처럼 아름다운 Line의 Highlight가 형성되는 것이 역광사진의 특징이며, 주변과 밝기 차이를 줄이며, Line의 Highlight를 살리기 위해 어두운 배경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사진강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디카 모드다이얼을 이해하자! 「Mode Dial Anatomy (0) | 2014.01.19 |
---|---|
[스크랩] 수동 화이트 밸런스 설정하기 (0) | 2014.01.19 |
[스크랩] 역광2탄 (0) | 2014.01.19 |
[스크랩] PL 과 ND 필터의 사용방법 (0) | 2014.01.19 |
[스크랩] 사진 잘 찍는 법 촬영 실습 5 세천리 소나무 야경 (0) | 2013.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