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촬영 기능연습

[스크랩]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연습 2 1 STOP 개념

jungbo(仲甫)중보 2013. 2. 4. 22:38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연습 2 1 STOP 개념

스포츠사진전문가 이주희

 

사진에서 노출을 측정할 때 초심자들의 잘못된 습관하나.

프로그램 모드나 자동 모드에 익숙해서 셔터스피드와 조리개가 자동으로 맞추어지기 때문에 촬영할 때 셔터스피드와 조리개를 확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노출보정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노출이 설정되는 것이 익숙해져 있다.

여기에 함정이 있다.

피사체의 배경이 피사체와 노출이 다르게 밝거나 어두울 경우에 문제가 있다.

노출보정을 설정해서 촬영해 보아도 시원한 해결책을 얻지 못한다.

그러면 근본적인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1 STOP 개념이다.

1 STOP 개념은 셔터스피드와 조리개 그리고 감도 ISO, 이에 따라 대응하는 노출보정(±)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1 STOP은 셔터스피드와 조리개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면 좋겠다.

셔터스피드는 1/60초를 기준으로 1/30, 1/15, 1/8초로 내려 갈수록 셔터스피드가 길어진다고 할 수 있다. 저속셔터라고 한다.

셔터스피드가 길어지면 피사체의 광선이 카메라에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조리개의 F수치를 닫아 주어야 한다.

그리고 셔터스피드가 길어지면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가 맺히는 것이 달라진다.

빨리 움직이는 피사체를 정지시키려고 저속셔터로 촬영하면 피사체는 촬영하는 시간에 지나가 버려 초점이 흐린 이미지를 얻는다. 그러나 빠른 피사체라도 피사체를 따라가면서 촬영하는 패닝(Panning) 기법으로 촬영하면 의외의 박진감 있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정리하면 1/60초 아래의 저속셔터는 시간의 흐름을 표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1/60초 이상의 1/125, 1/250, 1/500초의 빠른 셔터스피드를 활용하면 피사체를 정지시킬 수가 있다. 고속셔터라고 한다.

셔터스피드가 짧아져서 속도가 빨라지면 피사체에 들어오는 광선의 양이 작아져서 조리개의 F수치는 낮아져야한다. 조리개의 구멍이 커져야 같은 양의 광선을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고속셔터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포츠 경기, 제트스키, 카 레이싱 등 박진감 넘치는 스포츠사진에 두루 활용하고 새 사진 촬영에 적합하다.

정리하면 고속셔터는 시간의 흐름을 정지시켜 찰나의 순간을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그 다음 조리개.

조리개는 렌즈에 부착되어 있어서 여러 장의 날개를 이용해 구멍을 작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조리개는 50mm 표준렌즈를 기준으로 f1.4를 개방이라고 하고 한 단계씩 조여 주면서 수치가 나타난다. 렌즈 구경의 크기에 대한 비율이기 때문에 소수점 수치로 나타난다.

조리개는 가장 이상적인 조건이 f5.6이다.

f5.6을 기준으로 수치가 낮아지면 구경이 커져서 많은 광선이 들어오기 때문에 심도가 낮다고 한다. 조리개를 개방(50mm f1.4)하면 배경이 흐려지는 아웃 포커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f11이나 f16으로 조리개를 조여 주면 구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셔터스피드의 노출시간이 길어져야한다. 그 덕분에 심도가 깊어져서 배경이 선명한 사진이 된다.

이것을 팬 포커싱이라고 한다.

이렇게 셔터스피드와 조리개는 1/60초와 f5.6을 기준으로 촬영자에게 아래 4가지를 선택을 하게 한다. 이미지 표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고속셔터로 피사체를 촬영 할 것인지.

저속셔터로 피사체를 촬영할 것인지.

그리고 조리개를 개방 할 것인지.

조리개를 조여서 촬영할 것인지.

위의 4가지를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감도 ISO와 노출보정(±)이다.

감도 ISO100을 기준으로 50을 저 감도라 하고 200, 400, 800, 1600, 3200, 6400 12800, 25600 등으로 두 배씩 높아진다. 감도 ISO 1 STOP 높이면 셔터스피드는 한 단계 빨라진다. 고속셔터를 하고 싶어도 광선이 약하면 감도 ISO를 높여서 셔터스피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감도의 ISO는 색감의 질적 저하를 가져와 노이즈가 생겨 이미지가 거칠어질 수가 있다.

셔터와 조리개를 이용해 감도까지 설정되면 과감하게 노출보정으로 승부를 걸어본다.

노출보정은 셔터와 조리개의 설정으로 피사체의 위치, 배경의 밝기등 여러 가지 입체적인 조건을 살펴서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노출을 잡아내게 한다.

이상 4가지의 경우를 1 STOP라고하며 사진창작 활동에 기본이 되는 기능 활용법이다.

다음 호에는 1STOP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을 할 까 한다.

 

사진은 대구 육상 경기대회가 열리는 516일 오후 540분 공군 축하쇼 비행단이 곡예비행을 하는 모습을 400mm렌즈로 촬영했다.

AWB, ISO 100, Tv모드 1/1000, f9.0, +1/3STOP 노출보정 했다.

 

 

 

출처 : 열린사진공간
글쓴이 : jule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