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잘 찍는 법 기능 21 접사(마크로 접사) 스포츠사진 전문가 이주희
접사라는 용어를 사전적으로 찾아보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MACRO- , 다른 하나는 MICRO-. MACRO-는 ‘마크로’라고 해서 주로 커다랗고 긴, 거대한 뜻으로 사용이 된다. MICRO-는 ‘마이크로’라고 해서 초미니의, 그리고 초소형의 확대 등, 현미경의 의미로 사용된다. 우리 사진에서는 렌즈를 사용할 때 접사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은 접근해서 확대 촬영한다는 'MACRO 렌즈‘가 대세이다. 접사 렌즈는 식물을 가까이에서 촬영하거나 자연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움을 추상적으로 나타내는데 유리합니다. 실제크기의 배율로 촬영하는 것과 1/2크기의 배율로 촬영 할 수 있는 렌즈로 나눌 수 있다. 50mm 콤팩트 마크로, 100mm 마크로, 180mm 마크로 렌즈로 나눌 수 있다. 이외에도 현재의 줌 렌즈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특성인 크롭 바디를 이용해 0.23m까지 근접촬영 할 수 있는 준 마크로 렌즈가 있다. 완전한 접사는 어렵지만 접사를 활용하기에는 더 없이 좋은 렌즈들이다.
접사로 촬영할 때는 피사체에 따라 몇 가지를 생각해 보고 촬영에 들어 가도록한다. 먼저 최대한 접근을 하고 조리개를 개방해서 촬영하는 추상적인 느낌의 접사를 구사해 본다. 꽃의 암수 수술에 접근한다던지, 곤충의 더듬이에 접근한다던지, 최대 1x의 근접 촬영을 시도해서 형이상학적인 모습을 연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진에 눈을 뜨면 식물이나 곤충의 전체 모습을 담는 다큐멘터리나 생태사진으로 이동을 한다. 이렇게 접사를 이용하는 마크로 렌즈에 눈을 뜨면 접사는 물론이고 인물촬영, 풍경촬영까지 영역을 확대 할 수 있다. 접사렌즈를 사용할 때는 화각이 좁아지기 때문에 카메라의 흔들림에 주의를 해야 한다.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첫 째, 삼각대를 사용한다. 두 번째로 릴리즈를 사용한다. 릴리즈가 없을 경우에는 셀프타이머 2초를 설정해서 카메라의 몸체에 진동을 주지 않도록 한다. 세 번째, 피사체가 바람에 흔들리면 바람이 멈출 때까지 기다려준다. 기다릴 시간이 없을 경우에는 바람이 지나가고 잠시의 정적이 감돌 때 촬영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렌즈의 자체 흔들림 방지 기능인 손 떨림 방지 모드를 해제 한다. 렌즈에 장착된 IS, VR 기능을 OFF 한다. 이유는 손 떨림 방지 기능은 손으로 들고 촬영할 때 손떨림 방지 시스템이지 카메라가 삼각대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오히려 해가 된다.
의성작약은 규모면에서 전국적으로 유명하고 그 밝기와 색감이 화려해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특히 경북 신물질 연구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여러 가지의 작약은 싱싱한 자태가 좋아 자주 찾는 곳 중의 하나이다. 사진은 2010년 5월 말 해거름에 집을 나서서 오후 6시에 도착을 했다. 조문국 고분군을 돌아오면서 신물질 연구에 들러 해가 서산에 걸렸을 무렵에 촬영을 했다. 렌즈는 24-70mm 준 마크로 기능이 있는 렌즈로 70mm 가까이 당겨서 촬영 했다. 서산에 걸리는 태양을 보고서 낮게 앵글을 잡았다. 작약의 꽃봉오리가 활짝 핀 꽃잎에 투영되는 시점에 촬영을 했다. 그날은 약간 덥다는 느낌과 함께 바람이 조용했다. 삼각대를 거치하고 릴리즈를 사용했다. PL 편광필터는 사용하지 않았다.
M모드, AWB, 감도 ISO 50, 셔터스피드 1/125초, 조리개 f5.6. -1/3 Stop 노출 보정했다. 최대한 접근해서 심도를 얕게 했다.
봄이 실종되고 여름이 앞서는 올해엔 의성 작약이 어떤 모습으로 다가 올까? 5월 말이 기대된다.
ㅡ 열린사진공간 julee 선생님 제공 ㅡ |
'사진강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연습 7 여행사진 (0) | 2012.07.29 |
---|---|
[스크랩]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연습 4 초점- 최단거리와 무한대 (0) | 2012.07.08 |
[스크랩]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연습 3 1 STOP - 셔터스피드와 조리개의 상관관계 (0) | 2012.07.02 |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23 야간 노출 측정법 (0) | 2012.05.18 |
[스크랩]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17 삼각대 사용법 (0) | 2012.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