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케촬영방법--보케 /사진 잘 찍는 법| 사진 강의
사진 잘 찍는 법 촬영 실제 4 빛망울 – 보케 스포츠사진전문가 이주희
사진을 처음으로 접하는 사람들은 배경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배경이 흐리게 나와서 초점이 맞는 부분만 선명하게 나오는 것을 좋아 하기도 한다.
그리고 풍경사진을 촬영할 경우 가까운 나무와 멀리 보이는 산이 선명하게 초점이 맞는 것을 신기하게 생각한다.
이 모든 것을 심도라고 하는데 렌즈의 초점거리와 조리개에 영향을 받는다.
배경이 흐려지는 것을 ‘심도가 얕다’라고 하고 배경이 선명하게 살아나는 것을 ‘심도가 깊다’라고 한다.
그러면 심도를 자유자재로 표현해 볼 수는 없을까?
심도는 몇 가지의 기능을 파악해야 한다.
먼저 렌즈의 문제.
렌즈가 화각이 넓은 광각이면 근본적으로 심도가 깊다.
반대로 화각이 좁은 장초점렌즈나 망원렌즈는 심도가 얕다.
그리고 렌즈의 조리개 구경이 큰 f2.8의 렌즈는 심도가 얕고 조리개 구경이 작은 f5.6의 렌즈는 심도가 깊다. 이것은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과 관련이 있다. f2.8은 구경이 크기 때문에 빛이 많이 들어와서 심도가 얕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다음은 촬영 거리의 문제.
피사체와의 촬영 거리가 최대로 가까운 것을 ‘최단거리’라고 한다. 초점을 수동초점(MF)으로 전환하고 촬영을 하면 심도가 얕아 진다.
반대로 수동초점(MF)을 먼 거리에 맞추는 무한대(∞)거리에 맞추면 심도가 깊어진다.
마지막으로 렌즈에는 점사를 전문적으로 하는 마크로 렌즈가 있다.
여기에 대한 설명은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21 접사’를 참고하면 좋다.
마크로 렌즈는 접사 전문렌즈로 인물이나 풍경, 꽃 등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가격이 좀 비싼 것이 흠이지만 이 부분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경우에는 없어서는 안 될 렌즈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렌즈로 일반적인 사진을 촬영할 때는 위의 심도를 활용하면 좋다.
먼저 배경을 흐리게 만들고 싶으면 아래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기 바란다.
첫째, f수치가 큰 렌즈를 사용한다. f1.4나 f2.8 렌즈를 사용한다.
둘째, 초점거리가 긴 렌즈를 사용한다. 초점거리가 200mm에 가까운 장초점렌즈를 사용한다. 아니면 18-55mm 렌즈에서는 55mm를 사용하면 좋다.
셋째, 피사체에 가장 가깝게 다가가 초점을 맞춘다.최단거리를 사용하면좋겠다
넷째, 피사체 배경에 어지러운 것이 없는 곳을 택해서 촬영한다. 피사체 뒤에 복잡하고 어지러운 것이 존재하면 일반적인 렌즈로 촬영을 하면 사진이 어지럽게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배경에 아무것도 없는 곳을 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꽃을 촬영할 때는 역광을 이용하고 무리 중에 있는 꽃을 촬영하지 말고 무리에서 벗어난 외로운 꽃을 촬영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배경이 산뜻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다섯째. 피사체에 들어오는 광선을 이용한다.
피사체에 광선이 들어오면 노출이 세지기 때문에 광선이 들어오는 곳에 노출을 측정하면 배경은 자동적으로 어둡게 처리되어 배경을 정리할 수 있다. 촬영에 대한 노하우가 여기에 있다. 항상 빛을 보고 광선의 방향을 읽어내면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렌즈를 활용하고 주변의 환경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렌즈를 가지고도 화려하고 멋진 배경사진을 얻을 수가 있다.
초점이 흐려진 배경은 생각 이상의 멋진 이미지가 만들어져 사진에 대한 열정이 살아나게 만든다.
사진은 지리산 주천면 용궁마을에서 익어가는 산수유를 촬영했다.
스프레이로 산수유에 물을 뿌리고 역광으로 촬영했다.
초점을 산수유에 맞추고 조리개를 개방하니 초점이 맞지 않는 산수유에서 반사되는 빛이 ‘빛망울’되어 나타났다.----보케라고 한다.
***-M모드, 감도 ISO 200, 1/500초, f2.8, 캘빈온도를 조절해서 역광으로 촬영했다.
'사진 잘 찍는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출과 일몰촬영 기법 (0) | 2019.12.08 |
---|---|
ND필터의 종류와 용도 (0) | 2018.02.05 |
[스크랩] 사진잘찍는법(기능1-26) 정리본 File (0) | 2016.06.14 |
[스크랩]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22 피사계심도 미리보기 (0) | 2013.02.11 |
[스크랩] 사진 잘 찍는 법 기능 16 내장 플래시 사용법 (0) | 2013.02.11 |